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교회에서 항존직 직분이란? 성경적 의미와 그 중요성

by 소식알림 2025. 5. 28.
반응형

 

교회 공동체 안에는 다양한 역할과 직분이 존재합니다. 그중에서도 항존직 직분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항존직 직분
항존직 직분

항존직의 성경적 의미와 기원

'항존직(恒在職)'이라는 단어는 한자어 그대로 '항상 존재하는 직분'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정한 시대나 상황에 국한되지 않고, 교회가 존재하는 모든 시대에 항상 필요하며 존재해야 할 직분을 일컫습니다. 신약성경을 살펴보면, 초대 교회 시절부터 사도, 선지자, 교사, 목사, 장로, 집사 등 다양한 은사와 직분들이 언급됩니다. 이 중에서 항존직으로 분류되는 직분들은 교회의 근본적인 기능, 즉 말씀의 선포와 가르침, 교인들을 돌보고 치리하는 일, 그리고 어려운 이들을 섬기고 교회의 재정을 관리하는 일에 필수적인 역할을 감당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초대 교회의 직분들

사도행전이나 바울 서신 등 신약성경은 초대 교회의 다양한 직분들을 소개합니다. 이 직분들은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건강하게 기능하도록 세워졌습니다. 특히 사도행전 6장에 기록된 일곱 집사의 선출은 구제와 봉사의 필요에 따라 세워진 직분으로, 집사 직분의 기원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디모데전서와 디도서에서는 감독(목사)과 집사의 자격 요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초기 교회가 이미 체계적인 직분 제도를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항존직으로 정착된 직분들

교회 역사를 거치면서 다양한 논의와 정립 과정을 통해 오늘날 개신교회에서 일반적으로 항존직으로 인정하는 직분들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됩니다. 바로 목사(혹은 교사), 장로, 그리고 집사입니다. 이 직분들은 각각 말씀의 사역, 교회의 치리, 그리고 봉사의 사역이라는 교회의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여겨집니다. 종교개혁가 칼뱅을 포함한 개혁주의 신학에서는 이러한 직분들이 성경에 근거하며,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위해 영원히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칼뱅은 목사의 권위를 중요하게 여겼으며, 장로와 집사의 역할 또한 교회의 질서와 성장에 필수적이라고 보았습니다.

 

현대 교회에서 항존직 직분의 역할과 중요성

오늘날 교회에서 항존직을 맡은 분들은 교회의 리더로서, 그리고 섬기는 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합니다. 이들은 하나님과 교인들 앞에서 엄숙한 서약을 통해 직분을 받고, 교회의 영적 성장과 안녕을 위해 헌신합니다. 교회에서 항존직 직분이란 단순히 명예로운 자리가 아니라, 무거운 책임과 희생을 요구하는 섬김의 자리입니다.

목사: 말씀과 성례를 통한 영적 지도자

목사는 항존직 중에서도 특별히 말씀 선포와 성례 집례의 권한을 위임받은 영적인 지도자입니다. 성경을 연구하고 바르게 해석하여 교인들에게 하나님의 뜻을 가르치며, 설교를 통해 성도들의 신앙을 양육합니다. 또한 세례와 성찬 등 성례를 집례하며, 교인들의 삶을 심방하고 상담하며 영적으로 돌보는 목회적 역할을 수행합니다. 목사는 교회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말씀과 성례'가 바르게 이루어지도록 책임지는 막중한 직분입니다.

장로: 교회를 다스리고 돌보는 치리자

장로는 목사와 협력하여 교회를 다스리고 교인들을 돌보는 치리(治理)의 직분입니다. 교회의 중요한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교회의 질서와 교리를 수호하며, 교인들의 신앙생활을 권면하고 지도합니다. 장로는 목사와 함께 당회를 구성하여 교회의 행정과 운영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장로의 역할은 교회가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공동체로서 바르게 서가도록 돕는 데 필수적입니다.

집사: 교회의 필요를 채우는 섬김의 일꾼

집사는 교회의 필요를 살피고 어려운 성도들을 돕는 봉사(奉仕)의 직분입니다. 초대 교회 일곱 집사의 역할에서 볼 수 있듯이, 집사는 구제와 섬김을 통해 교인들의 실질적인 필요를 채우고 사랑을 실천하는 데 힘씁니다. 또한 교회의 재정을 관리하고 시설을 관리하는 등 교회가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돕는 실제적인 사역을 감당합니다. 집사의 헌신적인 섬김은 교회가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됩니다.

 

항존직과 임시직원의 구분

교회에는 항존직 외에도 서리집사, 권사(교단에 따라 다름), 교사, 찬양대원 등 다양한 임시적인 직분이나 직책들이 있습니다. 항존직은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정년까지 직분을 수행하는 반면, 임시직원은 보통 1년 단위로 임명되거나 특정 기간 동안만 역할을 수행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반응형